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5

경제적 진화와 자본주의의 과정 메서 논쟁은 1880년대 오스트리아 학파에서 시작된 이론의 역할에 대한 논쟁으로, 슈펨페터는 균형 경제의 가치를 소개하여 '순수' 이론으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슈펨페터는 '역사적'과 '추상적' 접근이 모순이 없다고 주장하며, 각각이 다른 문제에 대응하므로 보편적 유효성 주장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그의 『경제 발전론』에서는 순환 흐름에 대한 논의에서 루틴적인 연속성에 의존하는 순환 흐름이 최적화를 가정하지 않고도 적응과 혁신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업가는 균형 시스템 내에서 출현하며 발전은 자발적인 시스템 내 변화로 균형점을 대체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방법논쟁이란 1880년대 사회과학 분야에서 '정확한' 이론의 역할을 두고 오스트리아학파의 카를 맹거와 구스타프 폰 뵘-바베르크에 의해 시작된 논쟁을 말한.. 2024. 1. 28.
봉건시대에서 초기 산업화의 시대로 철학자나 사상가는 태어나지 않고 만들어지는 것이다. 적어도 애 덤 스미스에게는 그랬다. 철학자와 길거리의 짐꾼은 서로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두 사람의 성격이나 수입, 그리고 재능의 차이는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주로 습관이나 환경, 교육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스미스는 지적했다. 스미스의 시대 역시 부모의 소득이 자녀의 미래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던 것이다. 물론 행운도 있었다. 봉건 농경시대에서 집약적 농업시대로의 전환이든, 혹은 가내수공업 시대에서 공장식 생산 시대로의 전환이든 스미스가 태어났던 1723년의 커콜디에서 이 섬세한 청년은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스미스의 아버지가 세무 관리로 일하기도 했던 커콜디는 1644년 국왕 찰스 1세의 칙령에 의해 행정적으로.. 2024. 1. 28.
자본에 관한 마르크스의 견해 자본주의의 표준적인 이데올로기는 자본이 모든 사회에서 생산에 필요한 3요소의 하나라는 관념에 바탕을 둔다. 흔히 이 3요소가 모든 생산을 책임진다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이 이데올로기에서는 세 가지가 서로 보완하는 관계이며 대안이나 경쟁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모든 생산 에는 3요소의 협력이 모두 필요하다. 노동이 없으면 어떤 생산도 하지 못하며, 토지나 자본이 없어도 생산이 불가능하다. 이데올로그들은 이 세 요소가 평화롭고 조화롭게 협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렇지만 이 이데올로기는 더 나아가 생산의 3요소는 각기 다른 세 종류 의 상품의 집합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토지, 노동, 자본은 시장에서 사고파는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상품의 이름이다. 상품들은 평화롭고 조화롭게 합력하지 않기 때문에, 상품.. 2024. 1. 28.
18세기 후반의 영국 산업혁명 1700년에서 1770년 사이에 영국 상품의 해외 시장은 영국 국내 시장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확대됐다. 1700~1750년 동안 국내 산업 생산량은 7퍼센트 증가한 반면, 수출 산업 생산량은 76퍼센트 증가했다. 1750~1770년 동안에는 그 수치가 각각 7퍼센트와 80퍼센트다. 영국 제품을 찾는 해외 수요가 이렇게 빠르게 높아진 점이야말로 역사상 가장 근본적인 인간 생활의 변혁인 산업혁명을 가져온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18세기 영국에는 잘 발달된 시장을 갖춘 경제가 존재했고, 따라서 자본주 의와 시장에 반대하는 전통적인 태도와 이데올로기가 크게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 시기 영국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더 많은 공산품을 만들어내면서 이윤이 끊임없이 확대됐다. 따라서 점점 늘어나는 해외 수요에 자극.. 2024. 1. 28.